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원도서관 포토샵 기초 04

이미지 복제

아래의 이미지에서 보이는 테니스 볼을 복제도장도구를 이용하여 한개의 공을 다른 곳에 복사하는 내용이다.

툴박스에서 복제도장도구를 선택하고 복제하고자 하는 볼 위에서 ALT + 클릭 하고 하른 곳으로 마우스를 이동하여 드래그하면 ALT + 클릭 했던 곳이 드래그하는 곳에 복제가 된다. 이 때 옵션바의 붓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옵션바의 정렬 항목을 체크하는 것과 정렬항목을 체크하지 않은 것은 차이가 있다.

복제할 때 정렬체크가 된 경우: 마우스를 이동할 때마다 원래 선택했던 곳을 기준으로 복제가 이루어진다 마우스를 떼었다가 다시 드래그하더라도 원래 지준점에서 멀어진 방향과 거리만큼 다른 곳을 복제할 수 있다

복제할 때 정렬에 체크가 안된 경우: 드래그하여 복제하다가 중간에 마우스를 떼고 다른 곳에 마우스를 옮겨 다시 드래그하면 새로운 장소에 동일한 복제가 이루어진다. 동일하게 여러개를 복사할 때 사용한다



복구 브러시 도구

복구 브러시 도구를 선택하고 브러시 종류를 선택한 후 복제하고자 하는 대상에 마우스를 올리고 ALT + 클릭한 후에 복제할 장소로 이동하여 드래그하면 ALT + 클릭된 곳을 기준으로 복제가 된다. 복제도장도구와 유사하지만 마우스를 떼면 주변과 잘 어우러지게 색상이 자동으로 조정이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복제도장도구는 소스가 되는 장소를 그대로 복사해서 복제한다.



얼굴의 점을 지우는 기능

스팟복구브러시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 이미지의 턱에 있는 점을 지우고 주변과 유사한 색상으로 지정하려면 스팟복구브러시를 선택하고 턱에 있는 점에 마우스를 올리고 클릭만 하면 점이 사라지고 주변색상으로 채워진다

스팟복구브러시가 아니라 복구브러시를 이용하려면 복구브러시를 선택하고 복사할 주변색상에 마우스를 올리고 ALT + 클릭한 후에 점을 클릭하면 ALT + 클릭된 곳의 색상이 점이 있던 곳에 복사되어 점이 사라지게 된다



적목현상 제거하기

적목현상도구를 선택하고 옵션바에서 눈동자의 크기, 어둡게 할 양을 지정해준 다음 적목 점에 마우스를 클릭하면 빨간 색이 어둡게 눈동자와 비슷한 색상으로 변경된다. 위의 사진의 눈에 적목현상을 볼 수 있는데 적목현상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해보세요.

위의 사진은 원본과 달리 적목현상을 제거한 결과이다.


얼굴의 주름제거

복구브러시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 사진의 이마에 있는 주름을 제거해보세요



스폰지 도구로 채도 높이기

모델 사진의 볼에 화장을 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도구이다.

스폰지 도구를 선택하고 옵션바에서 채도증가를 선택하고 플로우를 20%정도로 설정한 후, 인물사진의 볼에 몇번 문질러 주면 그 자리의 색상이 채도가 증가하여 화사한 화장을 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초점을 선명하게, 흐리게 만들기

아래의 그림의 인물에서 주름을 제거해 보세요



흐림효과도구, 선명효과도구

위의 사진에 있는 할아버지의 얼굴이 선명하게 하고 할머니의 얼굴은 흐리게 하고자 한다면 흐림효과도구, 선명효과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손가락도구

손가락도구를 이용하여 할아버지의 머리가 날카롭게 쭈뼛하게 되는 효과를 내보세요



닷지도구는 밝게, 번도구는 어둡게

아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빛이 오늘 쪽을 더 밝게 해 보고, 반대편은 번 도구로 어둡게 해보세요




색상대체도구

브러시 도구와 함께 있는 색상대체도구를 이용하면 아래의 흰 꽃의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색상대체도구를 선택하고 전경색상을 설정한 후, 옵션바에서 '샘플링: 한번'을 선택하고 허용치를 30정도 설정하고 흰 꽃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드래그하면 설정된 전경색으로 흰꽃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허용치가 높을 수록 흰색 이외의 장소에도 색상이 대체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실습 : 동일하게 여러개를 복사하고 복제된 각 이미지의 옷의 색상을 다르게 변경해보세요.

아래의 원본 이미지를 3개 복제하고 복제된 각 이미지의 옷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해보세요

복제할 때는 복구브러시 도구를 사용하고 옵션바에서 정렬을 체크해주면 되며, 복제가 된 후에 옷의 색상을 변경하려면 색상대체도구를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