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C/Relay

Master-K Relay 접점 사용 예

LS산전 Master-K80S PLC에서 메모리 P 영역(입출력 릴레이) 사용 예


MASTER_K80S명령어_프로그래밍.pdf


아래의 그림은 2개의 푸시버튼이 동시에 눌려야만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 경우의 회로이다.




위의 회로를 PLC가 포함된 회로로 구현하려면 아래와 같은 구성이 필요하다


1. 하드웨어적인 구성 : 푸시버튼 2개를 PLC의 입력단자에 연결하고, 전구를 PLC의 출력단자에 연결한다

2.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 PLC의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푸시버튼의 입력을 인지하여 전구가 연결된 출력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로직이 저장되어야 한다


하드웨어적인 구성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아래와 같은 래더 로직을 작성하여 PLC에 로드하고 실행하면 P0, P1 입력단자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2개가 동시에 눌릴 때만 전구에 불이 들어오게 된다.

아래의 그림은 현재 입력단자 P0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눌리고 PLC에서는 입력단자를 체크하여 P0 메모리 영역에 그 결과를 저장한 상태이며 P1입력단자에 연결된 푸시버튼은 눌리지 않은 상태(전기적으로 차단된 생태)이기 때문에 P1 메모리 영역에는 청색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오른쪽의 P44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에도 청색으로 표시되지 않은 상태이고 출력단자에 전압은 인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래더로직은 XG5000에서 작성하고 시뮬레이션한 것이며 디바이스(여기서는 입출력 릴레이)의 색상이 청색인 것은 P0 입력단자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눌린 상태이기 때문에 P0 단자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입력릴레이 P00000가 여자되어 접점이 연결(Close)된 상태임을 나타내고 있다.

주의 : 색상이 청색인 것은 해당 릴레이의 여자, 혹은 소자 상태와 무관하며 접점이 연결(Close)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위의 로직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


Pxxxxx 로 나타내는 디바이스는 가상적으로는 입출력 릴레이를 의미하며, 실제적으로는 PLC 메모리 내의 P영역(입출력 단자의 상태를 저장하는 비트 데이터영역)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2가지 방법으로 위의 프로그램을 해석해 볼 수 있다.


Pxxxxx를 입출력 릴레이 접점으로 해석하는 예 (가상적 해석)

입력단자 P0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눌리면 입력릴레이 P00000가 여자되어 a 접점이 닫히므로 직렬로 연결된 다음 디바이스인 P00001 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만 입력 릴레이 P00001 가 여자되지 않아서 접점이 열려 있기 때문에 출력릴레이 P00044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아무런 출력이 없는 상태이다.

릴레이가 여자되면 해당 릴레이의 a 접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b 접점은 차단되기 때문에 릴레이가 여자된다는 의미를 릴레이 접점의 연결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주의할 점은 입력 릴레이는 연결된 입력단자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그와 동일하게 여자되거나 소자되고 해당 릴레이의 a 접점은 릴레이가 여자될 때 연결되고 소자될 때 차단된다. b 접점은 a 접점과 반대로 작동한다.


Pxxxxx를 P영역 메모리로 해석하는 예 (실제적 해석)

입력단자 P0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눌리면, PLC는 입력단자의 상태를 읽어서 P00000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이어서 P1입력단자의 상태를 읽어서 P00001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2개의 값을 AND 연산하여 그 결과를 출력단자 P44에 반영하고 P00044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다시 정리하면, P0 입력단자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눌렸을 때 PLC가 P0 입력단자의 상태를 체크하면 입력신호가 감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P0 단자에 일대일 대응한는 P00000 메모리 영역에 1 을 저장한다. P1 입력단자에는 입력신호가 없기 때문에 P00001 메모리 영역에는 0 값이 저장된다. 이제 저장된 2개의 값을 AND 연산하여 그 결과 0 을 출력단자 P44에 반영하므로 출력전압이 0V 인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또한 연산 결과 값은 출력단자 P44와 일대일 대응하는 P00044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


아래의 그림은 푸시버튼 2개가 동시에 눌린 경우에는 입력 릴레이 2개가 모두 여자되고 a 접점 2개가 모두 Close 상태(전기적 연결)가 되기 때문에 직렬로 연결된 출력 릴레이 P00044도 여자되어 접점이 연결되므로 P00044 출력 릴레이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P44 단자에 출력전압이 인가된다는 것을 나내내고 있다.



한개의 푸시버튼에서 입력하고 한개 혹은 다수개의 출력단자에 출력하는 예




자기유지 접점의 구현 예

P00000 입력 릴레이에 연결된 푸시버튼이 일단 눌리면 출력 릴레이의 a 접점을 이용하여 푸시버튼의 접점이 분리 되더라도 출력이 지속되도록 작성한 예




b 접점 (상시 닫힌 접점)의 예

아래 래더 로직에서 정지접점은 b 접점이므로 해당 릴레이가 소자된 상태일 경우에만 접점이 연결(Close)되고 여자되면 접점이 차단(Open)된 상태로 전환된다. 출력 릴레이로 사용된 펌프는 3개의 a 접점과 1개의 b 접점을 가지고 있으며 Master-K의 경우 출력 릴레이 자체는 a 접점을 의미한다.



위의 로직을 시뮬레이션하면 b 접점은 릴레이가 소자된 상태에서 연결(Close)된 상태이므로 아래의 그림과 같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b 접점으로 작동되는 멈춤 시그널도 연결되어 대응되는 출력단자에 전압이 인가될 것이다




시동릴레이에 연결된 버튼이 눌리면 시동릴레이가 여자되고 a 접점이 연결되면 펌프 출력 릴레이가 여자되고 대응하는 출력단자에 전압이 인가되고 펌프의 자기유지 a 접점과 작동 중 시그널 접점이 추가적으로 연결되므로 작동중 시그널에 대응하는 출력단자에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펌프의 b 접점은 해당 펌프 릴레이가 여자된 상태에서 차단(Open)되므로 멈춤 시그널은 작동을 멈추게 된다




위의 그림과 같이 펌프가 작동 중일 때 정지 릴레이에 대응하는 입력단자에 연결된 푸시버튼을 누르면 정지 릴레이가 여자되면서 접점이 차단되므로 펌프는 다시 멈춤 상태로 전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