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3D에서 오브젝트의 이동, 회전, 확대/축소 기능 및 좌표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본다
Scene View Navigation 에서 다룬 내용과는 달리 오브젝트 자체에 대한 변환이므로 게임뷰에도 동일하게 변환된 내용이 그대로 반영된다.
즉, 아래에 소개되는 내용은 개발자 카메라의 변환에 의한 오브젝트의 상대적인 변화가 아니라 오브젝트 자체에 대한 변화를 내용으로 다룬다.
1. Scene 뷰 상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Inspector 뷰에는 해당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각도,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난다. 개발자가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변화를 가하면 변경된 오브젝트에 대한 변환정보가 이곳에 반영된다.
2. 이동툴을 선택하고 이동하려는 오브젝트를 마우스로 선택하면 위의 그림처럼 3D 상의 각 축을 나타내는 기즈모가 보이고 이를 각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원하는 위치로 오브젝트를 이동할 수 있다. 마우스로 오브젝트를 이동할 때 변환정보도 함께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Inspector 뷰의 Position항목에 직접 입력을 하면 오브젝트에도 바로 적용된다.
기즈모의 각 축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색상이 Red, Green, Blue 이므로 RGB를 생각하면서 XYZ를 대응하면 색상만 보고서도 어떤 좌표축인지 쉽게 알 수 있다.
3. 이동을 위한 기즈모의 중심에는 색상을 가진 조그만 육면체가 있는데 이 면을 드래그해도 오브젝트를 이동할 수 있는데, 색상이 나타내는 면에서의 이동을 제외한 다른 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다.
4. 회전툴을 선택하고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오브젝트 주위에는 각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원이 나타나는데, 이 때도 RGB 색상과 XYZ 축이 대응하므로 마우스로 각 선을 선택하여 드래그하면 오브젝트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량에 대한 정보는 Inspector 뷰의 Rotation 항목에 표시되며 Inspector 뷰의 Position항목에 직접 입력을 하면 오브젝트에도 바로 적용된다.
참고: 오브젝트를 회전하면 각 축의 방향도 모두 변하는데 오브젝트가 이동할 때는 각 축을 기준으로 이동하므로 변경된 축을 따라 이동하면 축의 방향이 변경되기 전에 이동한 방향과 축의 방향이 변경된 후에 동일한 축의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월드좌표 상에서 이동 방향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는 Scene 뷰 상에서 회전과 이동을 적용해보면 바로 알 수 있다.
5. 스케일툴을 선택하고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각 축을 나타내는 기즈모가 보이는데 각 방향을 드래그하면 해당 방향으로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된다. 스케일 기즈모의 중앙에 있는 작은 육면체를 드래그하면 각 축 방향으로 일관된 크기로 변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