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ty3D/Wind Zone

Unity 3D Wind Zone

유니티 3D에서 Wind Zone 을 설정하여 나무가 흔들거리는 효과 만들기


유니티에서 나뭇가지에 바람이 이는 효과를 내려면 Wind Zone 이라는 게임 오브젝트를 사용해야 한다

유니티에게 제공하는 Tree Creator 라는 패키지를 이용하여 만든 나무는 자체 속성으로 Wind Zone 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Inspector 뷰에서 설정할 수 있고 그 외 다른 종류의 나무는 Terrain 툴에 나무를 추가할 때 Bend Factor 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 수치가 높을 수록 바람의 효과가 강하게 나타난다.

Wind Zone 도 게임 오브젝트에 속하므로 숲 위에서 이동하면 마치 헬기의 하향풍이 숲을 국지적으로 흔들어 대는 효과도 낼 수가 있다



Unity 3D 의 Tree Creator Package를 이용하여 만든 나무에 바람이 일도록 Wind Zone 설정하기

현재 프로젝트에서 Tree Creator 를 이용하여 만든 나무가 Scene 뷰에 올려져 있다면 Hierarchy 뷰에서 해당 나무의 이름을 선택하여 Inspector 뷰에서 Wind 섹션의 Main Window, Main Turbulence, Edge Turbulence 등의 항목을 설정하여 바람의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유니티의 다른 프로젝트에서 Tree Creator 패키지를 이용해서 나무를 만들고 Export 된 나무 패키지를 현재 프로젝트에서 Import Package 기능으로 가져와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Wind 설정을 하면 된다


기존에 다른 프로젝트에서 Tree Creator 를 이용하여 생성된 MyTree 패키지를 현재 프로젝트로 가져온다




Tree Creator 에서 생성되어 Export 된 나무 패키지를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누른다




Tree Creator 에서 생성된 패키지를 현재 프로젝트로 임포트한 결과




프로젝트 뷰에 등록된 나무 패키지를 Scene 뷰 안으로 드래그하여 나무를 생성하고 Hierarchy 뷰에서 나무 노드를 선택하여 Inspector 뷰에서 Branch Group 이나 Leaf Group 를 선택하고 Wind 설정을 해주면 된다




위의 나무를 Terrain 툴에 등록하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많은 나무를 Scene 뷰에 올리기 위해서는 Terrain > Create Terrain 항목을 선택하여 Scene 뷰에 Terrain 을 생성하고 Inspector 뷰에서 Add Tree 버튼을 눌러 위의 나무를 찾아 등록하면 된다




유니티의 Tree Creator 패키지를 이용하여 만든 나무 패키지는 Terrain 툴에 등록할 때 Bend Factor를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Tree Creator 에서 만든 나무 패키지는 Wind 설정을 자체에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Terrain 툴에 등록된 나무를 선택하고 Scene 뷰에 브러시로 그리면 원하는 만큼의 나무를 생성할 수 있다.



나무에 바람이 일도록 설정하려면 Wind Zone 오브젝트를 Scene 뷰에 생성해야 한다




Wind Zone 오브젝트를 Scene 뷰에 생성하고 나서 Play 모드로 테스트해보면 나뭇가지가 바람에 자연스럽게 흔들거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유니티의 Tree Creator를 이용하여 만들지 않은 나무에 Wind Zone 설정하기

이 경우에는 나무를 Terrain 툴에 등록할 때 반드시 Bend Factor 에 0 이 아닌 수치를 대입하고 Wind Zone 을 설정하면 된다






나무에 바람이 일도록 하려면 위에서처럼 Wind Zone 오브젝트를 설정해주고 Play 모드로 테스트해보면 바람에 흔들거리는 나뭇가지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