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모델을 유니티 프로젝트로 가져오기
유니티 프로젝트 생성 > 지형생성 및 지형의 기본 텍스쳐 설정 > Directional Light 설정
Project 뷰 > Assets > Model 폴더 생성, Model/Car 폴더 생성
모델(zip) 다운로드 : http://www.mediafire.com/download/zczqkla8de4lgls/Jeep.rar
압축해제 > 텍스쳐파일(*.TAG), 모델파일(*.3ds, *.max 등) 확인
탐색기에서 텍스쳐, 모델파일을 전체 선택하여 프로젝트의 Model/Car 폴더로 드래그하여 포함
프로젝트의 Model/Car 폴더에서 모델을 드래그하여 Hierarchy 뷰에 포함하고 더블클릭하여 Scene뷰에 나타낸다
자동차 오브젝트에 중력효과 적용하기
자동차가 지면 위를 주행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자동차에 중력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Hierarchy 뷰에서 자동차를 선택하고 Component > Physics > Rigidbody 를 선택하면 Inspector 뷰에 Rigidbody 콤포넌트가 추가되면서 [Use Gravity]가 선택된 상태이다. 이 상태로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면 자동차는 지형 위에 있다가 중력에 의해서 그대로 땅속으로 사라져 버린다. 자동차의 바퀴에 지면과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Collider를 설정해주면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바퀴에 Collider 설정하는 절차
Hierarchy 뷰에서 바퀴를 선택 > Component > Physics > Wheel Collider
Inspector 뷰에서 Collider의 크기(반경)와 위치 등을 적절히 수정한다
큐브맵
큐브맵은 주변환경이 거울과 물체에 반사되어 보여지는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설정하는 6개의 사각형 텍스쳐를 의미한다. 자동차의 외부에서 앞유리를 보면 하늘이나 주변의 건물이 반사되어 보이는 것을 표현할 때 큐브맵을 생성하여 앞유리에 설정해주면 된다
큐브맵의 생성절차
Assets > Create > Cubemap > 생성된 큐브맵의 이름변경 > Inspector 뷰에서 6개의 텍스쳐 설정
위의 과정에서 6개의 텍스쳐는 Standard Assets > Skybox > 안에서 적절한 텍스쳐를 선택하여 인스펙터 뷰에 드래그하면 된다
생성된 큐브맵을 앞유리에 적용하는 절차
자동차의 앞유리 선택 > Inspector 뷰에서 Material의 Shader항목에서 Reflective/Diffuse 선택 > Reflection Cubemap 항목에 위에서 생성한 큐브맵을 드래그하여 할당하면 된다.
질감과 입체감을 강조하는 Normal Map 설정
예를 들어, 자동차 바퀴에 입체감을 강조하려고 한다면....
Hierarchy 뷰에서 바퀴를 선택 > Inspector 뷰의 Shader 타입을 Bumped Diffuse 으로 설정하면 Normalmap 을 설정하는 섹션이 추가되어 나타난다
프로젝트 뷰에서 바퀴의 텍스쳐를 복사하여 선택하고 Inspector 뷰에서 Texture Type 항목을 Normalmap으로 설정하고 Apply 버튼을 누르면 노말맵이 완성된다
완성된 노말맵을 바퀴의 Normalmap 섹션에 드래그하여 설정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