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eg2Dicom Converter Intro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파일(JPG)을 의료계의 표준영상포맷인 DICOM파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소개
의료계의 표준영상 파일은 DICOM 이라는 포맷을 따르고 있으며 이 표준에 따라서 작성된 환자의 영상파일에는 환자의 영상정보외에 환자의 이름, 성별, 번호, 나이, 병원이름 등의 문자정보도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CT, MRI 등의 의료장비는 검진할 때 환자의 영상정보를 DICOM포맷으로 전송하거나 저장하고 있으며 Xray 필름이 사용되던 분야가 디지털화되면서 DICOM 이라는 단어는 이제 자주 언급되고 있을 만큼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병원의 PACS시스템은 DICOM 표준에 의한 영상을 생성하고 저장하거나 저장하고 있다.
PACS가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의료기관에서는 여전히 Xray 필름을 사용하여 환자를 진단하고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Xray 필름은 병원의 일정한 장소에 5년간 보관할 법적인 의무가 있다.
Xray 필름을 보관할 때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그 영상정보가 훼손되거나 분실될 수도 있으며 습기나 열기 등에 의하여 서로 달라붙어 사용할 수 없게될 수도 있고 또 환자가 그 Xray 필름을 반출할 경우에는 관리자의 손으로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이런 경우에 Xray 필름을 고성능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컴퓨터에 보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해당 영상을 모니터로 열어보거나 환자가 요청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검색하여 Email, USB메모리 등을 통하여 복사해 줄 수도 있으므로 간편하고 품격 있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디지털 카메라가 생성한 영상파일(JPG)에는 이미지 데이터만 있기 때문에 환자의 정보가 배제되어 있고 화면을 통해 보이는 영상에 환자정보(이름, 번호 등)가 없다면 그 영상자체는 별로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된다
DICOM 표준에서는 환자의 영상을 DICOM포맷으로 저장할 때 이미지 데이터 뿐만 아니라 환자정보와 같은 문자정보도 메타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도록 정의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가 생성한 JPG 파일을 DICOM 포맷으로 전환할 때 이미지 데이터 이외에 환자의 정보를 문자데이터로 함께 저장한다면 컴퓨터 모니터를 통하여 환자의 영상과 환자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PACS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의료기관에서도 환자의 진단영상을 DICOM 포맷으로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
지금 소개할 Jpeg2Dicom Converter 프로그램은 이러한 곳에 사용되어 쉽게 Xray 필름에 담긴 영상을 의료계 표준영상포맷인 DICOM파일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Jpeg2Dicom Converter 를 사용하기 위한 JPG 파일의 조건(파일명, 메타데이타 구성)
컴퓨터에 USB연결선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연결되어야 한다
카메라의 번들 CD에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제어(촬영 등)할 수 있어야 한다
마우스나 키보드로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할 때 JPG 파일에 포함될 메타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고 컴퓨터에 생성될 파일명과 파일의 경로를 지정할 수 있어야 한다.
컴퓨터에 생성되는 파일의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증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생성되는 파일명 형식: 의료기관명_작업자명_파일일련번호.JPG (번들 프로그램에서 이런 형식으로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파일에 포함되는 대표적인 메타데이타 형식: yyyymmdd [공백문자] 환자번호(숫자문자혼용가능) [공백문자] 환자이름
대표적인 메타데이타 형식의 예 : 20110215 254156 김환자
위의 메타데이터 형식 외에 더 많은 형식을 지원함(하단 설명 참조)
요약
JPG 파일명과 메타데이타 형식이 위와 같은 규칙에 따라서 구성되어 있다면 Jpeg2Dicom Converter를 실행하여 DCM 변환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Jpeg2Dicom Converter 를 사용하여 변환된 DCM 파일의 형식
DCM 파일의 이름 : 카메라 번들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생성한 일련번호_날짜_환자번호_환자이름_파일번호.DCM
- 일련번호: 촬영시마다 증가하는 번호
- 날짜_환자번호_환자이름: 촬영작업시 작업자가 메타데이터로 입력한 환자정보
- 파일번호: 동일한 환자가 동일날짜에 촬영한 영상의 경우에는 촬영한 영상의 수만큼 파일번호가 증가한다
- DCM 파일명의 예 : 003250_20081020_000000_김환자_2.DCM
환자의 정보를 파일명에 포함했기 때문에 컴퓨터의 탐색기 등을 이용하여 특정 환자를 검색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디지털 카메라로 Xray 필름을 촬영할 때 입력했던 JPG 메타데이타가 파일명을 구성한다
DCM 파일은 의료계 표준 포맷이기 때문에 다른 PACS에서도 열어볼 수 있게 된다
PACS가 설치된 의료기관에서만 열어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DICOM 뷰어가 설치된 그 어떤 컴퓨터에서도 열어볼 수가 있으므로 가정에서도 뷰어를 설치하여 진단영상을 볼 수가 있다
DICOM뷰어는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하고 다운로드/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엑스레이 필름을 DCM 파일로 변환한 경우에는 X-PACS Viewer를 이용하면 DCM 파일을 더블클릭하거나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X-PACS Viewer는 http://softblue.co.kr/ 사이트에서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DICOM 뷰어를 이용하여 DCM 파일을 열어보는 예는 하단의 그림을 참조하세요
디지털 카메라로 Xray 필름을 촬영할 때 입력하는 메타데이터의 다양한 형식(추후에 필요에 따라서 더 많은 형식을 지원할 수도 있음)
1. 번호 이름 날짜 (IND) 2. 번호 날짜 이름 (IDN) 3. 날짜 번호 이름 (DIN) 4. 날짜 이름 번호 (DNI) 5. 이름 번호 날짜(NID) 6. 이름 날짜 (ND) 7. 날짜 이름 (DN) 8. 날짜 (D) 9. 번호 이름 (IN) 10. 번호 이름 성별 날짜 (INGD)
DCM 파일로 변환하기 위한 준비절차
변환의 대상이 되는 JPG 파일을 모두 한개의 폴더에 모은다
JPG 파일을 담고 있는 폴더는 그 이름에 의미가 있도록 아래처럼 지정해야 한다
예) 한국병원 날짜번호이름
위의 폴더명이 의미하는 것은 '한국병원'은 임의로 지정하고 '날짜번호이름'은 메타데이터 형식과 일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날짜번호이름' 이 의미하는 것은 메타데이타가 [날짜 번호 이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원되는 메타데이타의 형식은 하단을 참조한다
Jpeg2Dicom Converter 사용법
1. Jpeg2Dicom Converter 실행
2. [JPG Dir] 버튼을 눌러서 변환할 JPG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지정한다
3. [DCM Dir] 버튼을 눌러서 변환결과 DCM 파일이 저장될 폴더를 지정한다
4. ComboBox에서 DCM 파일에 설정할 언어를 선택한다(한글일 경우 Korean, Unicode로 설정, 영문일 경우에는 English로 설정)
5. [START] 버튼을 눌러서 변환작업을 시작한다
Jpeg2Dicom Converter 실행
Jpeg2Dicom Converter를 사용한 DCM 변환중 메타데이터의 형식이나 오타 등의 오류발생시 err 폴더에 해당 파일을 저장하므로 변환이 완료된 후에 err 폴더를 참조하여 오류의 원인을 찾고 수정하여 해당 파일들을 대상으로 다시 Jpeg2Dicom Converter를 실행하면 된다
변환실패의 주요원인 및 해결
메타데이타 입력시 오타: 예를 들어 날짜를 입력할 때 무효한 날짜를 입력한 경우, 20100932 등
메타데이터의 형식과 실제 입력된 메타데이터의 형식 불일치: 2가지만 입력하고 3가지 입력한 것으로 간주할 때
메타데이터에 어떤 원인에 의해 쓰레기 문자가 포함되어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파일을 번들프로그램 등으로 열고 메타데이터를 수동으로 수정해주어야 한다
메타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포토샵, Canon ZoomBrowserEx, ACDSe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CDSee를 사용하여 메타데이타를 변경할 경우에는 입력된 메타데이타 외에 다른 쓰레기 문자가 추가되는 경향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예가 흔히 있다
DCM변환 완료 후 DICOM뷰어를 통한 확인
Free DICOM Viewer (각 프로그램에 대한 특징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X-PACS Viewer, K-PACS, Philips DICOM Viewer, MITO, MicroDICOM Viewer
Jpeg2Dicom Converter에 대한 문의
010 5047 8424, cwiskykim@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