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l-Learner 2013. 7. 20. 12:22

엑스레이 필름 무상스캔 서비스


의료기관이나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엑스레이 필름은 디지털 장비의 보급 추세에 따라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시스템에게 그 자리를 양보해가는 형편이지만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PACS시스템에 비해서 엑스레이 필름을 사용한다면 많은 단점이 존재하며 그 중 가장 큰 단점이라면 디지털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컴퓨터를 통해 관리할 수 없고 영상도 컴퓨터를 통해 확인할 수 없고 인터넷을 통해 전달할 수도 없다는 점일 것이다. 엑스레이 필름을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의한 관리와 영상검사가 가능하다면 엑스레이 필름의 가장 큰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운영진의 관리상 편의성 향상과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

엑스레이 필름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면 간편한 엑스레이 필름 스캔 서비스를 활용하여 무료로 디지털화와 컴퓨터에 의한 관리체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의료법에는 의료기록은 5년간 보존하도록 되어 있는데 광디스크(컴퓨터의 CD 등)에 원본대로 수록하여 보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광디스크에 수록할 때 의료표준 포맷을 따라 영상을 저장한다면 의료계의 표준을 따르는 어떤 의료기관에서도 그 영상을 열어 보고 검사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므로 엑스레이 스캔 서비스를 제공할 때는 의료계의 표준포맷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에 따라서 파일을 생성해야만 다른 의료기관에서도 문제 없이 의료기록이나 영사을 확인하고 검사할 수 있다.

          


엑스레이 필름 디지털화 개념도



엑스레이 필름을 디지털화할 경우 법률적인 문제는 없는가?

『의료법 시행규칙 제 15조 (진료에 관한 기록의 보존)

① 의료기관의 개설자 또는 관리자는 진료에 관한 방사선 사진 및 그 소견서는 5년 동안 보존 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진료에 관한 기록은 마이크로필름이나 광디스크 등(이하 이 조에서 "필름"이라 한다)에 원본대로 수록하여 보존할 수 있다.』



광디스크

광디스크는 레이저 광을 이용해서 문서, 음성, 화상정보 등을 기록·재생하는 원반 모양의 기록매체의 총칭이며 이미 컴퓨터의 CD 등에 이미 실용화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광 디스크 [optical disc] (매스컴대사전, 1993.12., 한국언론연구원(현 한국언론진흥재단))



의료계 표준영상 포맷(DICOM) [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

미국 방사선 학회와 전기 공업회가 합동으로 설립한 ACR/NEMA 위원회(1996년에 DICOM 위원회로 개칭)가 모체가 되어 의료 화상 전송을 중심으로 정한 규격. 현재는 데이터 보존 규격도 포함되어 있어 표준 규격이 되었다. 1993년에 일단 완성된 이 규격에 의해서 의료 화상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1996년에는 디지털 의료 영상 전송 장치 위원회에서 규격을 더욱 강화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지털 의료 영상 전송 장치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醫療映像傳送裝置]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DICOM Viewer Software (의료계 표준영상 포맷(DICOM)에 따르는 의료영상과 정보를 컴퓨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의료계의 표준영상 포맷인 DICOM(줄여서 DCM)파일을 컴퓨터에서 열고 영상과 정보를 검사하려면 DICOM 표준을 해석하고 의료정보와 영상을 컴퓨터 모니터에 출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런 환경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일반적으로  DICOM Viewer라고 말한다.


X-PACS Viewer는 DICOM Viewer 로써 기능하도록 작성된 소프트웨어이며, X-PACS Viewer 를 이용하여 DCM 파일을 편리하게 검색하고 컴퓨터 모니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검사할 수도 있다. X-PACS Viewer를 이용하면 의료계 표준포맷인 DCM 파일을 열고 영상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추가된 검색기능은 XScanMgr 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엑스레이 필름의 스캔작업을 수행한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XScanMgr 프로그램에 의한 스캔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X-PACS Viewer를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라이센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무료로 라이센스를 발급해 드립니다




X-PACS Viewer의 메인 화면




 X-PACS Viewer의 아이디로 검색 기능 (환자이름은 가명)




X-PACS Viewer의 영상출력화면 (위의 검색결과 리스트에서 한 행을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해당 환자의 영상이 열린다, 이름과 병원명은 가명임)




X-PACS Viewer의 마우스 휠 전환기능(영상 위에서 마우스 휠을 적용하면 검색 리스트 상의 다음 영상으로 신속하게 전환된다,  이름과 병원명은 가명임)




X-PACS Viewer의 영상처리 기능 (영상 위에서 마우스를 화면 우측으로 벗어나게 하면 영상처리 메뉴가 나타난다,  이름과 병원명은 가명임)

영상축소/확대, 어둡고 밝게, 상하 뒤집기, 좌우 뒤집기, 회전, JPG 포맷으로 변환저장 등이 가능하다

 




X-PACS Viewer의 JPG 파일로 저장 기능 (환자가 요청시 DCM 포맷에서 JPG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Email 등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XScanMgr 에 대한 간략한 소개 페이지 참조



XScanMgr 시스템을 이용한 엑스레이 필름 스캔 서비스 문의

manager@softblue.co.kr

010-9963-3679



SoftBlue 엑스레이 스캔 서비스 업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