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SSH

Raspberry Pi Telnet (SSH) Setup

Soul-Learner 2014. 9. 5. 09:18

라즈베리파이에 Putty, FileZilla 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접속하기



라즈베리파이와 모니터를 연결하여 작업하다가 다시 모니터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는 일은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 중인 컴퓨터에서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라즈베리 파이에는 이미 SSH 가 포함되어 있고 부팅할 때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SSH서버를 설치하거나 실행할 필요는 없다. SSH가 실행되고 있다면 Putty 와 같은 SSH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라즈베리파이의 콘솔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SSH는 SFTP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FTP 서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FileZilla와 같이 SFTP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파일을 보내고 받을 수도 있다면


만약 SSH가 현재 라즈베리파이에 실행되지 않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설치하고 실행하면 된다



라즈베리파이에 SSH 서버 설치하고 실행하기


설치

sudo apt-get install SSH


실행

etc/init.d/ssh start



다른 컴퓨터에서 라즈베리파이의 SSH 서버에 접속하기


라즈베리파이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라면 라즈베리파이의 현재 IP 주소를 확인하여 PUTTY 같은 텔넷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된다.

라즈베리 IP 주소는 부팅의 마지막 부분에서 할당된 IP 주소가 나타나고, 콘솔에서 ifconfig 명령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부팅시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라즈베리파이 시스템에 할당된 IP 주소를 메일로 전송해주도록 하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다른 컴퓨터에서 PUTTY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라즈베리파이의 IP주소를 입력한 다음 연결을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접속자 ID, 암호를 요구하고 로그인에 성공하면 현재 컴퓨터의 화면에 원격에 있는 라즈베리 콘솔과 동일한 화면이 제공되어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utty 와 같은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본체에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되어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본체에 로그인하지 않아도 로그인 프롬프트가 나타난 상태로 부팅 절차가 완료되면 SSH 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물론 본체의 IP주소를 알아야 접속이 가능하다. 


본체와 원격접속하려는 컴퓨터의 장소가 다르면 부팅된 본체에 적용된 IP 주소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므로 본체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IP 주소를 메일로 전송해주는 기능을 넣어두며 편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