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VNC

Raspberry Pi VNC Server Setup

Soul-Learner 2016. 3. 19. 17:23

라즈베리파이의 X-Window를 원격에서 사용하기


원격에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여 제어할 때 SSH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작업은 가능하다. 그러나 가끔 라즈베리파이 본체에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해야 가능한 작업이 있는데 이는 주로 라즈베리파이의 X-Window를 이용해야 하는 작업이 대부분이다. 원격에서는 라즈베리파이의 X-Window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인데 라즈베리파이에 VNC 서버를 설치하고 원격에서 VNC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원격에서도 라즈베리파이의 X-Window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라즈베리파이의 본체에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를 연결하고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가 있다


SSH등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원격접속하여 VNC 서버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tightvncserver


VNC 서버 실행

vncserver


nmap 으로 vncserver 가 사용하는 포트가 열린 상태인지 확인

nmap localhost

vncserver는 5901, 6001 포트를 사용한다


외부에서 라즈베리파이의 vncserver에 접속

외부에서 라즈베리파이의 vncserver에 접속하면 X-Window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하고자 하는 시스템에는 VN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윈도우즈 기반에서 주로 사용되는 VN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tightVNC 이다. tightVNC는 윈도우즈와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tightVNC 다운로드 및 설치

http://www.tightvnc.com/ 에 접속하여 윈도우즈용 다운로드

설치하는 중에 password 를 입력하는 창이 나타날 때 앞으로 사용할 암호를 설정한다


tightVNC Viewer 실행

설치된 프로그램(tightVNC)을 실행하고 아래처럼 접속대상 시스템의 IP주소와 Port 번호를 입력하고 'Connect' 버튼을 누른다

Host : 192.168.123.103:5901

암호를 묻는 창에서 라즈베리파이 관리자의 암호를 입력한다